증권이야기

2008년 레포(환매) 시장 동결: 자세한 분석

★♡ 2025. 2. 19. 15:32

2008년 레포 시장 동결: 자세한 분석

 

2008 레포시장


위기로 이어진 배경

위기 이전 레포 시장 (2007년)

- 일일 레포 시장 규모: 약 7조~10조 달러
- AAA 등급 증권의 일반적인 헤어컷(초과담보비율): 2~3%
- 주요 참여자 투자 은행들은 오버나이트 레포 자금에 크게 의존했습니다.
  - 리먼 브라더스 ~약 2,000억 달러의 레포 자금 조달
  - 베어 스턴스 ~1,000억 달러의 레포 자금 조달

 

시장이 얼어붙은 이유

 

1. 담보 품질 문제

- 주택저당증권(MBS) 문제
  - 담보로 사용된 MBS의 가치 급락
  - AAA 등급의 MBS 헤어컷이 2~3%에서 20~40%로 증가함
  - 일부 MBS는 담보로 전혀 사용할 수 없게 됨


2. 거래상대방 리스크

- 베어스턴스 붕괴(2008년 3월)
  - 1,000억 달러 이상의 레포 자금에 대한 접근성 상실
  - 주당 2달러에 JP 모건에 강제 매각
  
- 리먼 브라더스 파산(2008년 9월)
  - 2,000억 달러 이상의 레포 자금이 사라짐
  - 거래상대방 리스크에 대한 광범위한 공포 조성


 3. 수치적 영향

- 헤어컷(초과담보비율) 확산
  - 위기 이전: 100달러의 담보로 98달러를 빌릴 수 있음(2% 헤어컷)
  - 위기 정점: 100달러의 담보로 60~80달러만 빌릴 수 있음(20~40% 삭감)
  - 결과: 대규모 디레버리징으로 인한 강제 자산 매각

 

 

 

 

시장 반응

1. 안전을 향한 노력

- 재무 담보
  - 헤어컷은 2%로 유지
  - 수요 급증, 수익률 1% 이하로 하락
  
- 비국채 담보
  - 헤어컷이 급격히 증가
  - 일부 시장 완전히 폐쇄


2. 거래량 변화

- 전체 시장
  - 레포 시장 거래량 약 2조~3조 달러 감소
  - 양자간 레포 시장 거의 사라짐
  
- 3자 레포
  - 거래량 2조8천억 달러에서 1조6천억 달러로 감소
  - 최고 품질의 담보에 집중

 


연방준비제도 대응

 

1. 긴급 조치

- 프라이머리 딜러 신용 지원 시설(PDCF)
  - 최대 1,500억 달러의 하룻밤 자금 제공
  - 더 넓은 범위의 담보 허용
  

- 기간 증권 대출 시설(TSLF)
  - 2,000억 달러 프로그램
  - 딜러가 유동성이 낮은 담보를 국채로 스왑할 수 있도록 허용

 

2. 양적 영향

- 연준 대차대조표
  - 9,000억 달러에서 2조 달러 이상으로 확대됨
  - 비상 시설 총액 4,000억 달러 이상 증가

 

장기적 효과

 

1. 규제 변화

- 바젤 III 요건
  - 더 높은 자본 요건
  - 새로운 유동성 커버리지 비율
  

- 도드-프랭크 규제
  - 레포 시장에 대한 감독 강화
  - 새로운 보고 요건

 

2. 시장 구조 변화

 

- 단기 자금 조달 의존도 감소
  - 은행의 오버나이트 레포 자금 조달이 최대 40% 감소했습니다.
  - 안정적인 자금 조달원 증가
  

- 중앙 청산
  - 중앙청산 레포 시장의 성장
  - 리스크 관리 시스템 강화

 


교훈

1. 시스템 리스크

- 단기 자금 조달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위험합니다.
- 담보의 질이 매우 중요
- 상호 연결성이 문제를 증폭시킬 수 있음

 2. 시장 인프라

- 강력한 청산 시스템의 필요성
- 투명한 가격 책정의 중요성
- 안정적인 자금 출처의 가치

 


현재 시사하는 점

1. 시장 변화

- 보다 보수적인 헤어컷 정책
- 양질의 담보에 대한 강조
- 강화된 리스크 관리 시스템


 2. 지속적인 우려

- 향후 시장 스트레스 가능성
- 지속적인 모니터링의 필요성
- 비상 시설 유지 관리의 중요성


결론

2008년 레포 시장 동결이 보여준 것은 
- 단기 자금 조달 시장의 취약성
- 담보 품질의 중요성
- 견고한 시장 인프라의 필요성
- 중앙은행 개입의 중요한 역할